가구는 재료가공 → 표면마감으로 만들어집니다. 너무 당연한 얘긴데 왜 이걸 첫마디에 썼는가 하면 어떤 가구가 자신에게 잘 맞는 것인가 하는 것을 판단할 때 이 두가지 항목을 잘 살펴 보면 정확한 답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즉, 어떤 재료로 만들어진 가구인가? 에 대한 첫 번째 질문과 어떤 마감으로 마무리하였는가? 에 대한 두번째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할 수 있을 때 본인에게 가장 잘 맞는 가구를 선택하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이 두 질문에 대한 답을 얻었을 때 그 답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여기서 가구의 대표적 재료인 목재와 가구의 마감방법에 대해 자세히 소개해 보고자 합니다.
본 글에서의 설명은 소비자의 입장에서 완성된 가구를 평가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중심으로 구성하였으므로 가구를 직접 제작하시고자 하는 분들에게는 다소 정보가 부족할 수도 있을 수 있습니다.
목재
가구제작에 쓰이는 목재의 경우 크게 천연나무 그대로의 원목과 원목의 단점(비싸다, 수축, 팽창, 뒤틀림 현상이 발생한다)을 보완한 제품인 엔지니어링 우드로 나눌 수 있습니다.
통원목 vs 집성목
흔히 원목이라고 불리우는 목재는 더 자세히 구분하면 통원목과 조각 원목을 접착제로 붙인 집성목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통원목은 실제로 가구용으로 만들 수 있는 목재가 되기에는 크기의 제한이 많습니다. 왜냐면 살아 있는 나무의 폭을 생각해 보시고, 원목이라고 불리우는 책상이나 식탁의 폭을 생각해 보시면 금방 이해하실 수 있으리라 봅니다.
따라서, 시중에서 원목이라고 불리우는 가구들은 대부분 이 집성목을 사용합니다. 집성목은 길고 가는 여러 개의 솔리드 우드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붙여서 만들어 집니다.
사실 가구를 제작할 때 통원목이든 집성목이든 기본적인 차이점은 없습니다. 책상이나 침대 등과 같이 폭이 넓은 가구를 만들 때는 접착제를 써서 직접 통원목을 여러 개 붙여서 만들거나 이미 붙여진 집성목을 사용하거나 외관상 차이점은 없기 때문입니다.
가구 제작에 많이 사용되는 목재는 소나무 계열로 미송, 홍송, 그리고 스프러스 등입니다. 최근에는 웰빙가구 바람을 타고 삼나무를 사용하여 책상이나 책장을 만들기도 합니다.
그리고, 목재는 그 특성에 따라 연재(軟材, Softwood)와 경재(硬材, hardwood) 2가지 분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다음에서 연재와 경재의 특성과 실제 인테리어 목재로 많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목재들의 특성에 대해 자세히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목재 특성에 관한 자료는 우드데이 (woodday.co.kr)에서 많이 참조하였음을 밝혀 드립니다.
연재 (Softwood)
침엽수
나무의 성장이 빠름
밀도가 낮고 무름
가볍다
북반구 추운 지방에 분포
소나무 계열, 삼나무 계열, 전나무 계열 등이 대표적
대표적인 목재는
미송(햄록)
더글러스퍼(홍송)
스프러스
편백(히노끼)
적삼목(삼나무)
황삼목(삼나무)
전나무(햄퍼)
낙엽송
적송(레드파인)
경재보다 저렴하다 (PB나 MDF보다는 비싸다)
미송 (美松, 햄록, Hem Lock)
미송은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소나무科에 속하지만 엄밀히 말해 소나무는 아니다. 국내에서는 통상적으로 미송 또는 햄록으로 불린다.
햄록은 웨스턴 햄록과 이스트 햄록이 있는데, 웨스턴 햄록이 이스트 햄록에 비해 품질이 좋고, 우리나라에 수입되는 대부분은 웨스턴 햄록이다. 태평양 연안을 따라서 알라스카의 게나이 반도에서 캘리포니아 북서부에까지 분포한다.
대형의 수목으로서, 수고 50∼60m, 직경 1.5m에 달하는 상록침엽수이다. 수피는 어린나무의 경우 인편상으로 되어 있지만, 성목이 되면 회흑갈색 또는 적갈색으로 두껍고 깊은 골이 나있다. 수피 두께는 2∼4cm정도 된다.
변재는 담갈색 또는 담 황갈색이고, 심재는 담황갈색으로, 심변재의 구별이 명료하지 않으며, 연륜은 뚜렷하고, 추재는 색이 진하며 좁고, 춘재는 추재보다 약간 넓고 백색이다. 보기에는 적갈색의 줄무늬를 갖고 있는 것같이 보이며, 스푸루스가 같이 백색인 맛은 없다. 수지의 냄새가 나지 않는다. 목리는 통직하며, 나무결을 치밀하고, 곱기는 보통이다. 가볍고 연한 침엽수로서, 기건비중이 0.46∼0.47정도이고, 건조는 약간 늦은 편이지만, 일단 건조된 것을 이용하면 안정성이 있다.
Douglas fir보다는 강하지 않지만, Spruce보다는 약간 강한다. 가공은 용이하고, 마루 한 면은 양화하다. 내후성은 낮다. 수축율은 방사방향 4.3%, 접선방향 7.9%, 용적수율 11.9%로 보통인 편이며, 강도도 압축강도 477kg/㎠, 휨강도 830kg/㎠, 전단강도 66kg/㎠로 보통이다. 절삭가공, 건조, 접착, 도장성 모두 양호하다. 포삭성은 불량하다. 수분에 약하며, 연삭이 잘 되고, 광택도 있다.
홍송 (더글러스, 더글러스퍼, Douglas-Fir, 더글러스 전나무)
홍송 또는 더글러스로 불리우며 (더글러스 전나무라고도 함) 제재목, 단판, 숯, 침목, 펄프재, 박스, 운반용구, 통, 파렛트, 가구, 플로링, 창틀, 문, 판재, 목공, 목기, 핸들, 음식용기, 선삭용품으로 사용된다.
록키산맥에서 패시픽 연안, 멕시코에서 중앙 브리티시 콜롬비아에 분포. 주요 생산지는 오레곤 연안주, 워싱톤, 갤리포니아, 록키마운틴주에 분포되어 있다.
수고는 76.20 m 직경 1.83 m에 이르며 해안지역에 자생하는 나무의 수명은 200년에서 800년에 이른다. 가장 큰 나무는 수고100.58 m로 워싱톤 리들록에 위치한다.
무게와 강도의 변이가 크다. 높은 강도를 지닌 목재는 구조용으로 사용된다. 선별은 밀도를 적용하는데 여기에는 추재율을 계산하여 이용한다. 왜냐하면 옹이의 사이즈가 커지면 밀도도 커지기 때문에 단순한 밀도가 아닌 연륜에서 추재율을 적용하는것이다.
더글러스 퍼의 변재는 노거수에서 좁게 나타난다. 이 변재의 폭은 대체로 7.62 cm 정도이다. 성장이 빠른 어린 나무는 붉은 색의 심재를 지니고 있다. 이 것을 소위 레드퍼라 부른다. 아주 좁은 연륜을 가진 노령목은 황갈색을 띠는데 이 때문에 시장에서는 옐로우 퍼라 부른다.
못 유지력이 우수하지만 예비구멍을 뚫어 주어야 한다. 목재는 잘 닳아지고 광택을 지닌다. 스팀가공을 하면 쉽게 휘어진다. 접착에 주의를 해야 하고 페인트나 투명도장이 용이하다.
심재부후 저항은 없거나 약하다. 변재나 심재는 크레오소트와 같은 방부제로 가압처리하면 효과가 있다. 붉은 심재는 투과가 매우 어렵다.
스프러스 (Spruse, 가문비나무)
나뭇결이 뚜렷하고 곧으며, 조직이 고르다. 춘재는 흰색에 가깝고 추재는 엷은 황갈색을 띤다. 작업성이 좋으며 무게는 470kg/m3 정도이다.
건축, 구조재, 상자, 합판, 미아노 사운드보드, 바이올린 앞판 등에 주로 사용되며, 가구제작에도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목재이다.
마감하기에 좋아 도장 후 마감성이 우수하다.
편백(Cypress, 히노끼)
일본명칭인 히노끼로 많이 알려진 목재로 영문명은 사이프러스이고 우리나라말로는 편백나무 또는 노송이다. 중국에서는 향백나무라고도 불리워지고 있다.
편백나무의 대표적인 특성은 특유의 향과 효과로 아토피치료에 큰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족욕기 제작에 많이 사용되며 벽체용 루바, 데크, 사우나, 찜질방 등에도 많이 사용된다. 한국과 일본에 주로 분포되어 있다.
적삼목(삼나무)
이 나무는 대량으로 획득할 수는 없는 나무로서, 내구성이 높은 면을 이용하는데 쓰인다. 구조적 용도로는 맞지 않고, 상질재로는 건물의 내부, 온실 등에 사용되고, 저질재로는 항목, 지주등으로 사용된다.
미국의 북서부지방에서 생산되는 수목으로서, 알라스카의 남동부에서 칼리포니아 북서부, 록키산맥 등에 분포한다. 캐나다 남동부로부터 미국의 북동부에서 생산되는 것은 Northern red ceder라고 부른다. 유사수종으로 Eastern red ceder, Northern white ceder등 이 있다.
수고 50m,흉고직경 3.5m에 달하는 대목으로서, 보통 적은 흉고직경이 1∼1.2m정도이다. 시장재로서 중요성은 적은 목재이다. 수피는 적갈색으로 얇으며, 섬유질이고, 노목이 되면 회갈색이 된다.
변재는 백색이고 폭이 좁다. 심재는 담도갈색 또는 농갈색인데, 시간이 경과하면 흑색에 가깝게 된다. 방향을 가지며 쓴 맛이 있다. 목리는 통직하고, 나무결은 균일하고 다소 거친 편이다. 년수은 명확하게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침엽수재 중에서는 가장 가볍다.
기건비중은 0.33. 유렵 레드우드에 비해서 Western red ceder는 약25% 가볍다. 건조는 빠른데 얇은 판재의 경우에는 건조가 무난하나 두꺼운 판재를 건조할 때에는 일률적으로 건조가 잘되지 않는 점이 있다. 일단 건조한 것은 이용할 때에 안정치수를 갖는다.
가볍기 때문에 강도는 물론 낮다. 가공은 요이하지만, 칼날을 예리하게 해서 대패질하는 것이 마무리면을 좋게 한다. 내구성은 높다.
황삼목(삼나무)
데크, 병체루바, 옐로우 시다는 오랫동안 카누의 '노'로 사용되어 왔고 부후 저항성으로 '건축구조물', 해양천공충류에 대한 저항성으로 낚시의 '찌', 밀도균일성, 통직목리, 낮은 수축성 등으로 '음향판', 터마이티(흰개미)에 대한 저항성으로 일본 등지에서 '사원' 및 중요 건출물에 이용된다. 내장재, 가구재, 문구재, 구조용재 등.
미국의 남동 알래스카에서 캐나다의 B.C주, 다시 미국의 워싱톤 주, 오레곤주, 서부 캘리포니아주에 이른느 해안 전역에 분포한다. 해안 산맥을 따라 강변, 저지 또는 분지, 산악의 경사면에 생육하며 주로 온기가 많은 양질의 토양에 많이 생육한다. 그러나 600m 고도 이하에서는 잘 생육하지 않는다.
이 나무는 통상 중경목으로 수고 24m를 넘지 않고 흉고 직경도 60-90m가 많으며 큰 것은 평균 수고 30m에 흉고 직경 150m에 달하는 것도 있다. 상록침엽수로서 수피는 측백 나무류와 비슷하며 회갈색으로서 얇고 세로로 골이 나 있고 길게 세로로 벗겨진다. 수피가 얇아서 산불에 대한 저항성이 적다. 변재는 백색에 가깝고 심재는 담화색으로서 눈메가 가늘고 탄력이 있으며 연륜은 육안으로 보아서는 뚜렷이 나탄나지 않아 확대경으로 보면 추재는 좁고 짙은 색으로 보인다. 춘,추재의 전이가 급작스럽다.
목리는 통직하고 나뭇결은 균일하며 곱고 치밀하다. 어던 것은 방향성을 지니는데 생감자의 행과 비슷하고 약간 쓰면서 향긋한 맛이 난다. 기건 비중은 0.49 정도이며 수축율은 방사뱡향 2.8%, 접선방향 6.0%, 용적 수축율 9.2%로 적은 편이다. 강도는 휨 강도 780kg/cm2, 압축강도 444kg/cm2, 전단강도 79kg/cm2로 약한 편이다.
내구성이 크고 충해와 부패에도 강하다. 적당히 무겁고 단단해서 가공이 용이하며 거단, 건조, 대패질 모두 향호하고 접착, 도장성은 보통이다. 주된 성질등이 port-orford cedear와 유사하다. 비중이 비교적 적어서 침목이 될 우려는 없다.
전나무(햄퍼)
방부목(방부처리),구조재, 건축용재, 신문, 포장지등의 펄프재, 내장재, 합판, 건구재 등이 넓게 이용된다.
hem fir는 태평양 연안과 록키산맥에 생육하는 7가지 fir중에서 가장 중요한 수종으로서 북반구의 온대지방에 넓게 분포하며 청량한 습기가 많은 곳에주로 생육한다. 극도의 냉한지에는 생육하지 않는다.
fir속에는 약 40종이 있지만 북아메리카에 9종이 있고 태평양 연안지역에는 7종이 있다. 미국알라스카 중부에서 브리티쉬 콜롬비아주 전역, 오레곤주, 캘리포니아, 네바다, 유타, 콜로라도, 아리조나, 뉴멕시코주까지 생육한다. 북부에는 주로 해안지대, 남부에는 4000m 산악지대에 분포한다.
태평양 연안지역의 큰나무는 수고 30-60m, 흉고직경 90-180cm에 달하는 것도 있고 이들의 수령은 대개 150-200년이 된 것들이다. 주로 수고 30m, 직경 80-100cm되는 것이 많으며 수피는 회백색의 콜크질이다.
노목의 뿌리 부근의 수피는 회갈색의 콜크질이며 10-15cm 로 두껍고 단단해서 불에 대해 저항성이 크다. 어린나무의 수피는 비교적 부드럽고 갈색끼가 도는 담회색이다. 조밀하고 균형 잡힌 수관과 음지에서의 강한 생존능력 때문에 풍치용으로 식재되기 적합하다.
변재는 담백색 도는 담 황갈색으로 심재와는 잘 구분되지 않으며 연륜이 뚜렷이 보인다. 목리는 통직하고 균일하며 기건비중은 0.41정도이고 편도는 중간정도이다. 눈메는 약간 조잡하고 생재인 경우에는 좋지 않은 냄새가 나나 건조하면 무미무취이다.
수축율은 휨 강도 669kg/cm2, 압축강도390kg/cm2, 전단강도 77kg/cm2로 약한 편이다. 내구성은 낮고 절삭가공, 건조, 접착성은 양호하며 대패질, 도장성은 보통이다. 비중이 적어서 침목이 될 우려는 없다. 토양과 접한 면과 흰개미(termite)가 번성한 곳에서 사용될 경우 방부, 방충처리가 필요하다.
낙엽송
데크,방부목, 침목, 지주, 연료, 건축재, 상판, 상자, 차량재, 전기기구, 펼프용재, 내장용재 등에 사용됩니다.
미국의 콜림비아 강 상류 유역지대에 생육한다. 캐나다 브리티쉬 콜롬비아 남동부에서 록키산맥 분수령, 서쪽의 몬타나를 지나서 비다루토 산맥지역에 분포한다. 아이다오주의 사몬강 북쪽 및 와싱톤 주 북동부에도 분포한다. 와싱톤 및 오레곤 북동부의 카스케드산맥의 동쪽사면, 오레곤 북동부, 와싱톤 남동부에 분포한다. 수직으로는 표고 600-2000m까지 분포한다.
수고 50m, 직경 90cm까지 자란다. 긴 수간에 수평의 짧은 가지가 자라 전체적으로는 좁은 피리미드형을 이룬다. 수피는 적갈색으로 얇으며 성목이 되면 깊은 골을 이루는데 불규칙한 다이아몬드 모양으로 쪼개진다. 낙엽침엽수이다.
변재는 백색 또는 담황갈색이며 3cm이상되는 것이 거의 없을 정도로 좁다. 심재는 황갈색으로 심변재의 구별이 명료하며 연륜도 뚜렷이 보인다. 목리는 통직하고 나무결은 거친 편이다.
기건비중은 0.63정도로 무겁고 단단한 편이며 수축율은 큰 편이며 강도는 보통이다. 가공이 용이하며 접지면에서도 내구력이 뛰어나다. 때때로 년수를 따라 Shake라 불리는 쪼개짐이 있다.
적송(레드파인)
북유럽 스칸디나비아 반도에서 시베리아 일대에 분포된 소나무로 산 옹이가 있어 자연스롭고, 나무결이 예쁘다.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진한 빛을 띠게 된다.
경재 (Hardwood)
활엽수
나무의 성장이 느림
밀도가 높고 단단하다
무겁다
남반구 따뜻한 지방에 분포
대표적인 목재는
참나무(오크)
물푸레나무(에쉬)
단풍나무(메이플)
호두나무(월넛)
티크
오리나무(엘더)
느릅나무(엘름)
자작나무(버취)
나왕
마호가니
고무나무
벚나무(체리)
장미목
부빙가
비싸다
참나무(Oak, 오크)
건축내장재, 벽널판, 가구, 마루바닥, 건구류, 제재목, 손잡이, 상자 및 운송용기에 사용된다. 미국 중동부 전역, 오대호남부에서 플로리다. 텍사스까지 분포하며 수직적으로는 해발 2,000m까지 분포한다.
낙엽활엽교목이다. 수피는 담 회색으로 좁게 퍼지며 길게 종으로 골이 나 있다. 변재는 백색 또는 담갈색으로 얇고 심재는 담갈색 또는 암갈색으로 구분이 분명하여 연륜은 뚜렷하고 향기가 없고 춘재는 도관이 크며 관공이 육안으로 보인다.
백참나무도 미국의 동부지역에서 풍부하게 생산되며 여러 가지 수종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중 중요한 수종들로는 백참나무 [White oak (Quercus alba)], 늪지백참나무 [Swamp white oak (Q. bicolor)], 밤참나무 [Chestnut oak (Q. prinus)], 늪지밤참나무 [Swamp chestnut oak (Q. michauxii)], 친카핀참나무 [Chinkapin oak (Q. muehlenbergii)], 오버컵참나무 [(Overcup oak (Q. lyrayta)] 및 기둥참나무 [Post oak (Q. stellata)] 등이 있다.
모든 백참나무들은 무겁고 매우 단단하며 강하다. 방사조직은 적참나무의 것보다 더 현저하며 더 길다. 심재의 도관구명으로는 액체가 스며들 수 없기 때문에 액체를 저장하는 통의 제작에 적합하다. 백참나무도 생산 지역과 성장조건에 따라서 재색, 나무갗, 함수율, 평균수고 및 직경 등의 변이가 심하다.
풀푸레나무 (Ash, 에쉬)
바닥재,후로링,계단재,공구손잡이, 야구방망이, 재제목, 가구, 스포츠 용품, 박스, 운반상자에 사용된다.
전세계 북부 온대지역, 북아메카에서는 주로 캐나다의 동남지역에서 미국의 중동남부 폴로리다주까지 주로 분포하고 있다.
수고는 76.20 m 직경 1.83 m에 이르며 해안지역에 자생하는 나무의 수명은 200년에서 800년에 이른다. 가장 큰 나무는 수고100.58 m로 워싱톤 리들록에 위치한다.
변재는 옅은 갈색이고 심재는 갈색에서 회갈색이다. 오레곤 지역의 화이트 물푸레나무는 다른 상업용 수종에 비하여 밝은 심재를 갖는다. 변재의 폭은 1.1cm 에서 2.3cm 정도이다. 환공재이다. 특이한 냄새나 맛은 없다.
백물푸레나무는 여러수종(F.americana, F.pennsylvanica, F.quadrangulata) 으로로부터 생산되고 있으나 재색은 그리 고려되지 않고 있다. 특별한 재색이 요구되는 경우 구매자는 필요한 재색이 각 판재에 어느 정도 존재해야 되는지를 백분율로 공급자에게 조건으로 명시하여 알려주어야 한다.
단풍나무 (Maple, 메이플)
한국에서 Hard maple이라고 하는 것은 모두 Sugar maple,을 말하며, 볼링장의 마루판에는 주로 Suger maple이 이용되며, 운동구, 악기, 마루판, 가구, 기구, 방직용기구, 문구, 상자. 내장재, 무늬단판, 가구등으로 이용된다. 성질, 색상에 따라서 그 용도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nigrum은 북부 온타리오 동쪽에서 서부 퀘백주까지, 남쪽으로는 테네시, 미조리주 까지, 서쪽으로는 미네소타주까지의 오대호 남쪽 즉 중부지역 해발 800m에 분포하며, A. marcophyllum은 태나다의 브리티쉬 콜롬비아 남서쪽에서 남부 캘리포니아까지의 미국서부해안에 많이 분포하며, 북부에서는 해발 300m까지, 남부에서는 1,500m까지에 생육한다. A.saccharinum과 A. rubrum은 미국 오대호 근처와 마티타바에서 플로리다 및 로지아주, 서쪽으로는 알칸사스주, 미네소타, 캔사스 까지, 동쪽으로는 대서양 연안까지 미국 북부에 수평으로 분포하는 꼴을 보이며, 해발 2,000m까지 생육한다. A. saccatum은 중동북부와 캐나다 남부에 해발 1,700 까지에 많이 분포한다.
수고 20∼30m에 직경 30∼40cm의 낙엽활엽수들이며, A. nigrum의 수피는 암회색 또는 흑색이며, A. macrophyllum의 수피는 회갈색 또는 적갈색, 담회색으로 모두 콜크질의 수피에 세로로 깊게 골이 나있다. 특징적인 것은 Silver maple의 수관은 여러 갈래로 갈라지며, Red maple의 수관은 다소 수직으로 긴 편이다.
A. nigrum의 변재는 백색에 적색의 줄 무늬가 있고, 심재는 담적갈색이며, 비중은 0.70정도, Bigleaf maple의 변재는 담홍색, 심재는 황갈색으로 심변재의 구분이 명료하며 연륜이 뚜렷하지 않고, 비중은 0.51정도, Soft maple의 변재는 백색, 심재는 담갈색이나 때때로 회색 또는 녹색의 줄무늬가 있고, 비중은 0.53정도, 수축율은 적고 강도는 약하다.
A. nigrum, Bigleaf maple, Soft maple 공히 가공이 용이하고, 연마도 잘되나, 내구, 내후성이 약하고, 접착, 건조성이 불량하나, 도장성은 양호하다.
Sugar maple의 변재는 백색에 적색선이 있으며 폭이 좁다. 심재는 적갈색으로 심변재의 구분은 분명하고 연륜도 뚜렷하다. 비중은 0.70정도, 수축율은 보통이나 강도는 강한 편이다. 가공성은 불량하고 내수성, 내구성은 양호하다. 접착, 도장성 모두 양호하며, 건조성은 보통이나, 할열이 심하고 연삭이 잘된다. 목리는 4가지가 모두 통직목리이고, 때때로 파상목리도 있고, 조안 목리를 나타내고 있는 것도 있다.
호두나무 (Walnut, 월넛)
가구, 붙박이장, 서랍재, 총잡이, 인터리어 패널, 장식재, 단판에 많이 사용된다.
흑호도나무는 남부 미네소타에서 펜실베니아, 뉴저지, 뉴욕, 남캘리포니아 남부, 조지아, 플로리다, 알라바마, 텍사스 서부를 거쳐 오클라호마, 캔자스, 네브라스카, 남다코타의 북쪽을 가로질러 미국 동부에서 자란다. 수고는 37 m이며, 직경은 1m에 이르게 자란다.
흑호도나무의 변재는 백색에 가깝고 심재는 밝은 갈색에서 진한 초코렛빛의 갈색을 띤다. 가끔 자주빛을 띠는 진한 줄무늬가 있다. 목재는 무겁고 단단하며 강인하고 충격에 강하다.
흑호도나무는 통직한 목리를 갖으며 수공구나 기계로 작업하기 쉽다. 마감면이 아름다우며 도장이나 착색이 매우 용이하다. 접착성도 우수하소 광택도 좋다.
아주 내구성이 우수한 목재이며 심재부후에 대한 저항성도 높다. 심지어 썩기 쉬운 환경에서도 잘 썩지 않는다.
티크 (Teak)
고급마루,고급가구재, 고급장식용재, 조각재, 고급테이블. 고급장농,건축의 고급내장용재등 고급품으로 세계적으로 넓게 사용되고 있다.
수피와 잎은 황다색의 염료로 종자에서 추출된 액체를 안약으로, 분말된 나무는 두통용 고약도 만들고, 내복하면 마라리아. 복통, 피부염, 발열등에 특효하다
천연적으로 있는 Teak는 인도, 미얀마. 타이, 라오스등에 분포하는데 몬슨영향에 있는 건기, 우기가 있는 지역의 온성낙엽수림중에서 생육한다. 인도네시아의 자와에 Teak는 천연인공의 양설(兩說)이 있다. 미얀마의 북쪽한계선은 25˚30˚이고 남쪽한계선은은 10˚∼20˚ 정도인데 거의 전역에 걸쳐 분포하고 있다. 타이는 북위 20˚30˚ 정도가 북쪽한계선이지만 19˚전후에 젠마이를 중심으로 한 곳이 가장 생육이 좋다.
Teak는 현재 세계적으로 유명한 수종으로 되어서 각지에서 인공식재를 하고 있다. 인도, 미얀마, 타이는 물론 쟈와를 위시로 한 동남아시아 각지, 뉴기니아. 솔로몬군도, 그외 열대아프리카, 남미제도등 천연분포의 최적조건을 초월해서 광범의하게 식재되고 있다.
건조낙엽수림에 있는 것은 수고 20m전후이지만, 습성낙엽수림에 있는 것은 40m에 달한다. 보통은 30m정도의 고목으로서, 흉고직경60∼80cm, 대경목은 100cm를 넘는 것도 있다. 수관은 원형또는 타원형이고, 수간은 통직하고 원통형이다. 간각은 대목인 경우에 있다. 수피는 회갈색 또는 암갈색인데 세로로 가는 줄이 있다. 내수피는 회갈색인데 외기에 접하면 갈색이 된다.
심재는 독특한 금갈색또는 금다색인데 암갈색의 줄무늬가 있고,시간이 지나면 암색으로 변한다. 변재는 황백색인데 유성이 있고, 심재와의 구별이 된다. 변재부위가 비교적 얇다.
목리는 통직하고, 나무결은 정교하고 조밀하다. 도관에는 silica를 함유하고 있다. 기건비중은 0.55∼0.70정도인데, 약간 무거운 편이며, 재면은 양초같이 끈끈한 촉감이 나며 가죽같은 독특한 냄새를 풍긴다.
기계적 성질은 극히 강하고, 가공은 일반적으로 용이하다. 수축율은 저곡, 건조도 양화하다. 대패질도 좋게되고, 내구력이 높다. 균해, 충해에도 극히 강하다.
오리나무 (Alder)
색깔은 연한 커피색으로 붉은 빛을 띤다. 결이 부드럽고 미려하며, 목질이 단단한 것이 특징이다. 시간이 지나도 색상의 변화가 거의 없다.
느릅나무 (Elm)
매우 밝은 색을 띠는 목재이다. 느릅나무는 재질이 매우 강하고 견고하며 수분에 대단히 강한 목재이다. 집성목 판재가 없어 가구를 제작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제작과정도 쉽지 않아 느릅목으로 만든 가구는 고가에 거래된다.
자작나무 (Birch, 버취)
고운 나무결을 지니는 자작나무는 유럽과 북부 아메리카가 원산이이다. 목리는 통직하나 소용돌이 형상 또는 물결 문양을 지닐 수 있다. 심재는 적황색 그리고 변재는 백색을 띤다. 자작나무는 가구, 판벽 및 합판 제조 용도로 쓰인다. 다른 수종의 목재를 모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장 처리되기도 한다.
통직목리 및 교주목리를 모두 지니기 때문에 세심한 재면 조정이 요구된다. 외관을 심하게 은폐하지 않고 재면이 드러나 보이도록 만들어 주는 도장 처리가 적합하다. 나무결이 매우 곱기 때문에 아주 적은 회수의 도장으로 충분하다
자작나무는 목리 배열 상태에 따라 착색제의 침투성에 차이가 나타나기 때문에 불균일한 착색 결과를 나타낼 수가 있다. 따라서 본격적인 착색에 앞서 눈에 잘 띄지 않는 곳이나 동일 수종의 자투리 목재에 시험해 보는 것이 좋다
라왕(Lauan)
합판재, 단판, 기구, 가구, 진열장, 내장재 등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특히 액체를 침투시키지 않는 성질이 있어(기공이 조직물로 막혀있음) 보드와 같은 후판으로 사용하는 데에 최적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백라왕"으로 알려진 수종이다. 원래 White lauan은 필리핀에만 있는 이 수종의 이름이나 나중에 이와 유사한 색조의 수종들이 사바, 인도네시아 등에서도 발견됨으로 유사수종의 광범위한 이름으로 사용되어 왔다.
White lauan group에 들어가는 수종으로는 알몬 (S. almon), 마야피스 (S. squamata), 박티칸 (Parashorea plicata) 및 화이트라왕 (Pentcme contorta)이 필리핀 수종으로서 들어가고, 그외 사바, 인도네시아의 유사 수종들이 포함되기도 한다.
이 수종은 필리핀의 전토에 넓게 분포되어 있는데, 북쪽으로는 바부얀섬에서부터 남쪽으로 민다나오섬까지 분포되어 있다. 평지림 및 표고 약 700m까지의 구능림에 많이 생육하고 필리핀에서 최고로 대량 생산되는 수종에 속한다
수관은 불규칙하게 넓게 성글 게 퍼져있고, 수고 50m에 달한다. 직경은 보통 1m 전후이고 개중에는 1.8m 정도의 대경목도 있다. 지하고는 15∼20m이며, 통직하고 원통형의 수간을 갖고 있다. 뿌리근육은 노목에서는 크게 발달되어 있다. 외수피의 두께는 1∼2cm 정도이고 흑갈색인데 일광에 노출되면 회갈색으로 된다. 노목에는 근주부위에 생선비늘 모양의 수피가 있다. 내수피는 담홍색을 띤 갈색의 섬유질이다.
처음 나무를 자르면 회색으로, 변, 심재의 구별은 어렵지만, 건조후에는 담회색의 심재가 차차 옅은 홍색을 띠면서 변한다. 변재의 두께는 5∼10cm정도이며 담회색이다. 재질은 약간 단단한 편이며 목리는 교차한다. 나무결은 거칠고 정목면에서는 리본무늬를 볼 수 있다.
방사조직은 백색 또는 회홍색이다. 백색의 수지를 수지구에서 볼 수 있다. 기건비중은 0.45∼0.68이고 평균 0.55로 기록된다. 박티칸보다는 가볍다.
강도는 중간이고 가공성은 양호, 특히 접착성이 좋다. 건조도 용이해서 할열이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내구력은 낮아서 외장이나 접지재로서 사용하면 내구력이 없다.
마호가니 (Mahogany)
마호가니는 서인도 제도, 중앙 및 남부 아메리카, 동남아시아 및 서부 아프리카와 같은 세계 여러 곳에서 생산되고 있다. 목재의 특성은 단단하고 무거운 쿠바산의 것에서부터 이보다 훨씬 더 연한 나이지리아 및 다른 서부 아프리카산의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마호가니는 피아노용으로 선호되고 있는 목재인데 기타, 바이올린 등과 같은 현악기의 배판 용도로 사용되는 짙은 적색의 재색을 지니는 부류는 제금배문양의 마호가니로 알려져 있다. 최근 아메리카산 마호가니가 특히 인기를 끌고 있는데 재색은 금갈색에서부터 옅은 분행색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마호가니는 어느 것에도 결코 뒤지지 않는 풍부한 재색과 문양을 지니기 때문에 되도록 착색제 처리를 거의 하지 않은 채 도장 처리해 주어야 한다. 불필요한 도막은 천연의 아름다운 문양과 재색이 감추어지게 된다.
원래 마호가니 가구는 왁스나 기름으로 처리되었지만 빅토리아 시대에는 프랑스 광택제로 처리해 주는 것이 더 유행하였다.
마호가니에 착색제 처리를 해 주는 경우 너무 지나치게 적색으로 만들어 주는 것은 피해야 하며 갈색 계통이 되도록 해 주는 것이 더 낫다.
엔지니어링우드
원목은 나무의 갈라짐, 뒤틀림, 처짐, 수축 및 팽창을 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원목으로 만든 가구 역시 시간이 지날수록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그리고 원목은 재료가 비싸고 가공에 숙련된 기술을 요구한다는 점 등의 단점이 있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만든 것이 엔지니어링우드로 대표적으로 합판, PB (Particle Board), MDF(Middle Density Fiberboard)가 있습니다.
PB (Particle Board)
흔히 PB라고 불리우는 파티칼 보드는 나무 부스러기를 압축하여 수지로 굳힌 건축용 합판입니다. 싱크대 제작에 많이 쓰이는 재질이며, 가격이 저렴하여 저가 가구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주요 특징은
제작 및 가공이 용이
방향에 따른 강도 차이, 팽창 및 수축이 없음
뒤틀림 현상이 없음
단열성, 차음성, 난연성이 원목이나 합판보다 우수
단점은
수분에 약함
MDF에 비해 입자가 굵어 미세가공이 어려움
주의사항은 PB나 MDF는 나무 부스러기를 접착제로 열압하여 제작되므로 어떤 나무 부스러기를 사용했는지, 어떤 접착제를 얼마나 사용했는지에 따라 인체에 유해할 수도 있습니다.
각 나라별로 이들 제품에 대해 폴름알데히르 함량을 측정하여 등급을 표시하도록 의무화했으며,
폴름알데히르 함량이 가장 적은 E0 등급부터 가장 많은 E2 등급까지 분류됩니다.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실내 가구용으로는 E0~E1까지만 사용하도록 한정하고 있으며, 우리정부 역시 E1 등급제품에 KS인증을 부여하고 권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제품가격을 낮추기 위해 아직도 우리나라에서 가구제작에 사용되는 PB나 MDF의 80% 이상이 E2 등급으로 실내에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제품들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참고로, 가까운 일본의 경우 실내가구의 경우 E0등급만 사용할 수 있도록 법제화되어 있습니다.
가구를 구매하실 때에는 지나치게 저렴한 가구의 경우 사용된 자재가 권장수준을 지키고 있는지 아닌지 확인하시고 구매하시길 권유 드립니다.
MDF (Particle Board)
다음으로 역시 가구제작에 많이 쓰이는 MDF에 대해 말씀 드리겠습니다.
중밀도 섬유판 (Middle Density Fiberboard)의 약자인 MDF는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그 주된 이유는 저렴한 가격과 정밀가공의 용이성 때문입니다.
입자가 매우 고와서 정밀가공이 가능하며, 표면처리도 뛰어나서 다양한 형태로 가구를 제작할 수 있게 합니다. 제품마다 여러 단계의 밀도를 가지고 있는데, 통상 중밀도는 0.5g/cm3 정도의 밀도를 가지고 있으며, 고밀도 0.8g/cm3 이상의 제품도 있는데 이들은 HDF (High Density Fiberboard) 라고 불리우기도 합니다.
가공의 정확성과 정밀성으로 가구나 실내 몰딩등에 많이 사용되며 또한 면이 평활하고 견고해 장식용필름이나 베니어 등을 오버레이 하거나 페인팅 하는데에도 매우 적합합니다.
주요 특징은
제작 및 가공이 용이
입자가 고와 정확한 가공이 가능
방향에 따른 강도 차이, 팽창 및 수축이 없음
뒤틀림 현상이 없음
단점은
수분에 약함
강도가 PB에 비해 떨어짐
주의사항은 역시 PB 소개란에서 말씀 드렸듯이 MDF도 나무 부스러기를 접착제로 열압하여 제작되므로 어떤 나무 부스러기를 사용했는지, 어떤 접착제를 얼마나 사용했는지에 따라 인체에 유해할 수도 있습니다.
각 나라별로 이들 제품에 대해 폴름알데히르 함량을 측정하여 등급을 표시하도록 의무화했으며, 폴름알데히르 함량이 가장 적은 E0 등급부터 가장 많은 E2 등급까지 분류됩니다.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실내 가구용으로는 E0~E1까지만 사용하도록 한정하고 있으며, 우리정부 역시 E1 등급제품에 KS인증을 부여하고 권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제품가격 문제로 우리나라에서 가구제작에 사용되는 PB나 MDF의 80% 이상이 E2 등급으로 실내에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제품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가구제작의 대표적 소재는 여기까지 하고, 다음 글에서 가구의 마감방법에 대해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심플 인테리어 무소음 30D 벽시계
COUPANG
www.coupang.com
인테리어 해초 화분 바구니 라탄 왕골 커버 덮개 가리개
COUPANG
www.coupang.com
이스트웍스 인테리어 수납 바구니 3개세트
COUPANG
www.coupang.com
이스트웍스 인테리어 트레이 바구니 2개세트
COUPANG
www.coupang.com
모던 디자인 제도 집게형 책상 스탠드 조명
COUPANG
www.coupang.com
모던 디자인 사각 티슈 커버 케이스
COUPANG
www.coupang.com
심플 디자인 욕실 디스펜서 칫솔 꽂이 비누 받침대
COUPANG
www.coupang.com
이스트웍스 수제작 컬러 유리 화병
COUPANG
www.coupang.com
심플 디자인 책상 연필 꽂이
COUPANG
www.coupang.com
이스트웍스 라탄 식탁 테이블 매트 냄비 받침대
COUPANG
www.coupang.com
'홈인테리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에게 맞는 가구 고르기] 색의 향연 컬러의 마술 색상선택 (0) | 2022.07.29 |
---|---|
[나에게 맞는 가구 고르기] 가구마감 (시트지 LPM 하이그로시 우레탄 등) (0) | 2022.07.27 |
파주 헤이리 예술마을 나들이 (0) | 2010.11.24 |
상암동 월드컵경기장공원 가을풍경 (0) | 2010.11.16 |
2009년 NASA 선정 실내 공기정화식물 베스트 10 (0) | 2010.01.13 |